형상관리 용어정리
용어 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용어 |
정 의 |
버전관리 (Version Management) |
파일이나 문서의 이력 및 차이점을 관리하는 것을 말하며, 언제라도 과거의 릴리즈에 접근 변경 및 수정 작업을 반복할 수 있고, 최종의 버전과 특정 릴리즈 버전의 파일에 대한 차이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괸리한다. |
변경관리 (Change Management) |
문서나 파일에 가해질 수 있는 모든 변경 작업과 그 이력 및 사유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. |
형상관리 (CM : Configuration Management) |
형상항목을 식별하여 체계적으로 형상의 변경을 통제하고, 프로젝트 수명주기 전반에 형상의 추적성과 통합성을 유지하는 활동이다. |
형상항목 (CI: Configuration Item) |
형상관리 대상이 되는 항목으로 유일한 식별자(ID)가 부여되어 개별적으로 관리되는 시스템이나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요소 (소프트웨어, 하드웨어, 문서 및 개발 도구 등)이다. |
베이스라인 (Baseline) |
수명주기 상에서 진행 및 변경을 구분하기 위해 “수명주기 상에서의 관리를 위한 구획을 설정한 것”으로, 공식적인 변경관리 절차를 거쳐서만 변경이 가능하다. |
형상 라이브러리 (Configuration Library) |
형상항목이 저장되는 물리적/논리적 저장 공간으로 파일서버, 형상관리 도구를 이용한 시스템 등이 해당된다. |
형상통제 위원회 (CCB: Configuration Control Board) |
형상항목에 대한 형상 베이스라인이 승인된 후, 발생되는 형상항목의 변경에 대하여 평가, 조정, 승인/보류/기각을 결정하는 심의 조직이다. |
형상 식별 (Configuration Identification) |
형상항목을 선정하여 형상 식별자를 부여하고, 선정된 형상항목의 기능적, 물리적 형상특성을 식별하여 기술하고 문서화 하는 활동이다. |
형상통제 (Configuration Control) |
형상항목에 대한 베이스라인이 승인/설정된 후 발생되는 형상항목의 형상변경에 대하여, 영향을 평가하여 승인/기각/보류를 결정하고, 승인된 변경사항의 이행을 체계적으로 실행하는 활동이다. |
형상상태 보고 (Configuration Status Accounting) |
형상상태에 대한 필요 정보를 수집하고, 기록 및 유지하는 활동이다. |
형상감사 (Configuration Audits) |
프로젝트 수명주기 동안 베이스라인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형상관리 활동의 수행을 확인하는 정기적인 검토활동이다. |
체크아웃 (Check-Out) |
베이스라인을 통과한 형상항목을 변경하기 위하여 변경이 필요한 형상항목을 형상 라이브러리에서 요청자의 개인 라이브러리 또는 테스트 라이브러리로 가져 오는 것을 말한다. |
체크인 (Check-In) |
베이스라인을 통과한 형상항목을 형상 라이브러리에 최초 등록하거나, 형상항목에 대한 변경작업을 완료하고 해당 형상항목을 형상 라이브러리에 재등록 하는 것을 말한다. |
배포 (Release) |
형상항목이 고객(또는 내부사용자)에게 인도되는 베이스라인이다. |
4. 형상관리 용어
설계형상(As-Designed)
제품이 설계된 형상을 말한다. 이의 부품표를 설계형상(As-Designed) BOM 혹은 설계(Engineering) BOM이라고 한다. 이는 제품 형상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, 설계자나 고객의 입장에서 만들어진 것이며, 설계변경(Engineering Change)이 여기서부터 시작된다.
생산형상(As-Planned)
설계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계획한 형상을 말한다. 이의 부품표를 생산형상(As-Planned) BOM 혹은 제조(Manufacturing) BOM이라 하며, 생산 절차를 기술한 문서를 공정설계(Operation Planning)라 한다. 설계형상(As-Designed) BOM이 설계자의 입장에서 만들어진 것인데 비해 생산형상(As-Planned) BOM은 생산기술자에 의해 생산의 용이성이 감안되어 다시 만들어진 것이다. 따라서 생산형상 BOM은 설계형상 BOM과의 차이가 없음이 증명될 수 있어야 하며, 설계변경 사항이 적시에 반영되어야 한다. 특히 생산형상(As-Planned) BOM은 MRP의 가장 중요한 Input이므로 공정설계와 제품구조의 일치성이 보장되어야 한다.
완성형상(As-Built)
완성된 형상을 말하는 것으로, 최초 계획에서 설계변경 등 이력을 포함하여 생산 과정에서의 개선사항, 품질 검사 결과 및 사후처리, 대체품을 포함한 실제 사용된 부품에 관한 제반 사항 등의 광범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. 이는 사양을 준수하여 제조하였다는 증명임과 동시에, 고객에 인도되는 제품의 최종형상으로 향후 운영시 유지보수의 기반이 된다.
운영형상(As-Maintained)
고객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 형상을 말한다. 항공기, 선박, 첨단장비, 무기류 등은 제품 수명주기가 길거나, 안전과 관련된 제품, 프로그램이나 첨단 기술이 계속 보강되는 제품들은 현재 상태의 형상이 관리되어야 정확한 부품교환 및 수리가 가능하다. 그러므로 제품과 함께 운영형상(As-Maintained BOM)이 관리되어야 하며, 고객과 정비업체간 상호 운용성을 제공해야 한다.
Physical Configuration Audit
형상관리 활동의 하나로서 기능적 형상검토 (FCA: Functional Configuration Audit) 이후에 개발 완료된 제품이 생산(또는 출하)에 필요한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검토함